본문 바로가기

시사

한겨레의 오보!! 지방교육청 이월불용액 김무성이 맞았다!

김무성 대표에 대해 한겨레가 커다란 오보를 저질렀다.

 

김무성 대표의 지방교육청의 지방교육재정교부금 이월불용액 비율관련 발언과 관련하여 한 언론사의 반론기사로 인하여 지방교육청 이월불용액에 대한 관심이 쏠리고 있다.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는 116일 최고위원회 회의에서 지방교육청의 지방교육재정교부금 이월 불용액은 41528억원으로 중앙정부 이월불용액 비율의 3배에 달하는 수치라는 발언을 하였다.

 

 

 

그 다음날 한겨레 기사에서 <‘경제 용어구사하다가 또 체면 구긴 김무성> 이란 타이틀의 기사에서 <‘금리 하락뜻하는 표시를 상승으로 오해하더니

이번엔 이월·불용액거꾸로 파악한 채 교육감들 비난>이라는 서브 타이틀 까지 기록하며

김무성 대표는 정부와 시도교육청의 이월 불용액을 가꾸로 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대표는 시도 교육청의 이월 불용액이 정부의 3배라고 말했으나, 실상은 정부의 이월불용액이 시도교욱청의 3배다라고 보도하며 김무성 대표의 발언이 잘못되었다고 지적하였다.

 

김대표가 말한 3배 발언과 한겨레 기사의 3배 발언의 차이는 무엇인지 알아보면, 김대표의 자벙교육청 이월 불용액 비율은 20141015일 한국경제 기사를 인용한 것으로 의원실에서 밝히고 있다. 당시 2013년 회계결산이 마감되지 않아 2012년 기중으로 기사는 작성되었다.

 

 

한겨레의 기사는 2013년 기준으로 작성되어 중앙정부 이용불용액은 18, 지방교육청 이용불용액은 4조라는 비율이 아닌 액수를 기준으로 작성되어 있다.

 

기사가 나간이후 한겨레 측은 기사를 일부 수정하였으나 아직까지 <김무성 대표, ‘교육청 불용액 수치왜곡 논란> 이라는 제목으로 기사가 게제 되어 있다.

 

지난 5년간 이월불용액 비율 추이를 보면 중앙정부는 3%, 지방교육청은 7%대로 2.5, 3배에 달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2013년 의 경우 예년에 비해 중앙정부의 이월불용액이 타 연도보다 많았던 해이다. 그럼에도 지방교욱청 이월불용액은 전체 57조예산중 4조원(7.2%)으로, 2013년 정부의 이월불용액 비율(5.5%)보다 액 1.5(30%) 많은 수치이다.국가의 재정 비율은 한해 한해를 보는 것 보다 최근 몇 년간의 전체 평균수치를 같이 봐야 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입장이다.

 

 

이런 오보의 문제점은 이미 이 기사가 sns를 통해 전파 되었다는 점이다.

 

일반 국민들은 당시의 자극적인 제목만으로 판단하게 되는것이다.

이미 엎질러진 물이라는 이야기이다.

 

언론에서는 좀더 책임감 있는 기사와 그에 대한 책임이 따라야 할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