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형래 감독의 신작 '라스트 갓파더'
'디워'를 보고 나오면서 입을 삐죽거렸던 남자는,
'라스트 갓 파더'를 보고 나오면서 미소를 지었다.
코미디 영화이고, 대한민국의 영구 심형래 감독이다.
아주 어릴 적 모습들, 그리고 유머 코드에 개한 기억을 건드리는 영화
"라스트 갓파터"
- 블로거 하늘호수님의 영화평 서문 -
심형래 감독의 새로운 영화 '라스트 갓 파더" 가 새해 연휴 극장가의 최대의 화두 였다.
1월 1일 가족들과 부천 상동 프리머스 극장을 찾았을때 많은 가족들이 '라스트 갓 파더'를 관람하기위해 극장을 찾았고 좌석도 여러개의 상영관 모두 매진을 기록하고 있었다.
심형래 감독의 '라스트 갓파더'가 2일 120만명 고지를 넘어서며 초반 파죽지세의 흥행 행보를 보이고 있다. 영화계에선 어느 정도 예상한 흥행 수치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지만 흥행 몰이의 지속에 대해선 의견이 엇갈린다.
지난달 29일 개봉한 '라스트 갓파더'가 2일까지 모은 관객은 121만6,077명(영화진흥위원회 집계)이다. 지난 주말(31일~2일) '라스트 갓파더'를 찾은 관객만도 94만662명으로 주말 박스오피스 1위에 올랐다. 2위 '헬로우 고스트'(49만3,457명)의 두 배에 가까운 수치다.
'라스트 갓파더'의 초반 돌풍은 충무로에서 예견돼 왔다. 2007년 '디워'로 갖은 화제를 뿌린 심 감독의 신작이라는 점, 미국 유명 배우 하비 케이틀을 캐스팅해 미국에서 촬영했다는 점 등 관객들의 호기심을 자극할 요소가 많았기 때문이다. 추억의 바보 캐릭터 영구를 스크린에 다시 불러내고, 심 감독이 TV 등에 적극 출연해 영화를 알린 것도 주효했다는 평가다.
무엇보다 가족 단위 관객을 겨냥한 게 '라스트 갓파더' 초반 흥행 질주의 요인이라는 분석이 많다. 영화의 인지도가 높은 상태에서 다양한 연령층이 극장을 찾게 됐다는 것이다. '라스트 갓파더'의 투자배급사 CJ엔터테인먼트 관계자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가족영화가 없어 이에 대해 관객들이 갈증을 느낀 듯하다. 한파 덕도 좀 본 것 같다"고 밝혔다.
지난달 29일 개봉한 '라스트 갓파더'가 2일까지 모은 관객은 121만6,077명(영화진흥위원회 집계)이다. 지난 주말(31일~2일) '라스트 갓파더'를 찾은 관객만도 94만662명으로 주말 박스오피스 1위에 올랐다. 2위 '헬로우 고스트'(49만3,457명)의 두 배에 가까운 수치다.
'라스트 갓파더'의 초반 돌풍은 충무로에서 예견돼 왔다. 2007년 '디워'로 갖은 화제를 뿌린 심 감독의 신작이라는 점, 미국 유명 배우 하비 케이틀을 캐스팅해 미국에서 촬영했다는 점 등 관객들의 호기심을 자극할 요소가 많았기 때문이다. 추억의 바보 캐릭터 영구를 스크린에 다시 불러내고, 심 감독이 TV 등에 적극 출연해 영화를 알린 것도 주효했다는 평가다.
무엇보다 가족 단위 관객을 겨냥한 게 '라스트 갓파더' 초반 흥행 질주의 요인이라는 분석이 많다. 영화의 인지도가 높은 상태에서 다양한 연령층이 극장을 찾게 됐다는 것이다. '라스트 갓파더'의 투자배급사 CJ엔터테인먼트 관계자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가족영화가 없어 이에 대해 관객들이 갈증을 느낀 듯하다. 한파 덕도 좀 본 것 같다"고 밝혔다.
흥행세가 계속될지에 대해선 "장기 흥행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한 가운데 "혹평이 많아 곧 꺾일 것"이라는 의견도 나온다. 3일 영화예매사이트 맥스무비에 따르면 '라스트 갓파더'는 30일~5일 기준 예매순위 1위(31.66%)지만 관객평점은 14위에 그치고 있다. 이상규 CGV 홍보팀장은 "'라스트 갓파더'는 입소문이 늦게 퍼지는 중장년층 관객이 많이 찾고 있어 영화평이 좋지 않아도 관객이 쉽게 줄지 않을 것"이라고 조심스럽게 전망했다. 반면 한 영화제작자는 "'디워'는 볼거리라도 있었지만 딱히 볼거리가 없는 '라스트 갓파더'의 흥행 결과는 다를 것"이라고 내다봤다. '디워'는 842만명의 관객을 모았다
이영화에 대한 관람객들의 의견은 분분한데 '코미디 영화를 코미디 영화로 봐야 한다'는 의견,'생각 없이 사람을 매장 시키는 평론가들'이라며 미국시장에 새로운 도전을 높이 평가해주어야 한다 라는 의견 등등 네티즌들 사이에서 다양한 의견들이 나오고 또 이분법적인 구조도 형성되어 가고 있는 상황이다.
'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고기 축제" 에대한 네티즌의 의견은? (0) | 2011.06.24 |
---|---|
그러니까 집에서 게임이나 하세요. (0) | 2011.06.10 |
폭력성 영화가 아이들에게 끼치는 영향 (0) | 2011.06.09 |
유리병 - 북한 동포들의 인권을 위한 노래 (0) | 2011.03.02 |
진중권 "라스트 갓 파더 불량품" 발언 (0) | 2011.01.04 |